728x170
사회안전지수는 경제활동과 생활안전, 건강보건, 주거환경 등 크게 4개 차원의 정량지표를 토대로 산출했다. 정량지표 뿐 아니라 주민 설문조사 결과인 정성지표도 반영했다.
거주 지역의 사회안전에 대한 주민체감도를 측정하기 위한 사회안전인식조사는 지난 10월 7일부터 28일까지 3주간에 걸쳐 진행됐다. '2023 사회안전지수' 조사에는 전국 226개 기초지자체와 세종시, 제주도 내 제주시·서귀포시 등 총 229개 시·군·구에 거주하는 3만5332명이 참여했으며, 이중 50표본 이상 조사된 184개 시·군·구가 분석 대상에 포함됐다. 184개 시·군·구는 사회안전지수 점수에 따라 5개(A~E) 등급을 받았다.
A등급 상위권
B등급 중상위권
C등급 중위권
D등급 중하위권
E등급 하위권
평균이 53.4점
2022년 전국 살기 좋은 지역 순위 TOP50

사회안전지수는 치안 관련된 생활안전+경제활동+건강보건+주거환경 등을 종합함
그리드형
'트렌데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폐수처리 공대녀 (0) | 2023.01.08 |
---|---|
축의금 5천원짜리 3장 넣은 친구 (0) | 2023.01.08 |
와 소리 나오는 개포자이 프레지던스 사전점검 사진 (0) | 2023.01.08 |
피아노 수리점에서 대기업까지 (0) | 2023.01.08 |
당근마켓 온도 60도 후기 (0) | 2023.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