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 모유수유 서약

2021. 10. 6. 21:13
728x170

 

보건소에서 모유수유 서약 강요



보건소에서 모유수유 서약 강요



모유수유 서약 검색해보니까 이벤트 참여하면 경품 증정 이런건 꽤 있는데,
이벤트도 아니고 작성해야하는 서류 사이에 이런게 끼어있는게 읭스러워서 가져옴.....






 

보건소에서 모유수유 서약 강요…거절하니 분위기 싸해져 논란

 

 

지인이 보건소에 갔다가 ‘모유 수유 서약’을 하라고 강요받았으며 이를 거절하자 이상한 사람 취급을 당했다는 사연이 공개됐다.

한 네티즌은 6일 오후 소셜미디어(SNS) 트위터에 “지인이 보건소에 임산부 등록을 하러 갔다가 불쾌한 일을 당했다”고 밝혔다.

이 네티즌은 “모유 수유 서약이라는 걸 하라고 해서 동의하지 않는 내용이라 서명하지 않겠다 하니 유난 떠는 사람 취급을 받았다고 한다”며 “2021년이 맞는지, 떨어지는 출생률을 바로잡을 생각이 있는 나라가 맞는지 의구심이 든다 ”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인과 나눈 카카오톡 대화 화면을 익명으로 캡처해 공개하고 여성가족부 트위터 계정을 태그했다.

 

해당 네티즌이 올린 카카오톡 대화 화면에서 상대방은 “저는 모유 수유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아니고 제 선택이라고 생각해서 여기 동의를 할 수 없었다”며 “그래서 서명하지 않겠다니까 기분 나쁜 내용도 아니고 캠페인인데 그냥 쓰라는 거다. 내용이 불쾌하고 동의하지 않아서 쓰지 않겠다니 왜 불쾌할 내용이냐며 그냥 캠페인이니 쓰라고 하더라”고 말했다.

이 상대방은 이어 “안 쓴다고 하고 나머지 서류 접수를 했는데 그 이후로 엄청 싸한 분위기로 끝났다”며 “저는 저게 여성에게 너무 폭력적이고 강압적인 내용이라고 생각한다”고 상대방의 의견을 묻는 동시에 불편했던 상황을 어디에 호소해야 하냐고 도움을 요청했다.

상대방이 찍어서 보낸 사진에는 ‘모유 수유 서약’이라는 제목의 문서 일부가 담겨 있다. 이 문서에는 ‘나는 모유 수유할 것을 약속합니다’, ‘나는 모유 수유의 중요성을 알고 건강한 아이로 키울 것을 약속합니다’, ‘나는 출산 후 직장에 복귀하더라도 모유 수유를 지속할 것을 약속합니다’라는 내용이 적혀있다.

 

실제 서울 25개 보건소 중 일부가 수년 전부터 임산부에게 모유 수유 서약서 작성을 권고하고 있다. 전국 보건소가 무료로 지원하는 산전검사를 받으러 온 임산부에게 모유 수유를 홍보하기 위한 취지라고 한다.

이 글을 접한 다른 네티즌들은 대부분 비판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모유 수유는 개인의 자유인데 권고라는 명목으로 임산부에게 사실상 모유 수유를 강요하고, 임신과 출산, 육아의 책임을 여성인 임산부 개인에게 떠넘기는 부적절한 캠페인이라는 반응이 대다수다.

한 네티즌은 이 트윗을 인용하면서 “이걸 왜 서약을 하냐. 이걸 강요할 필요도 없고 요즘 분유도 잘 나와서 모유랑 분유랑 섞여 먹이던지, 분유만 먹어도 되는데 이걸 왜 강요를 하냐”고 비판했다.

이외에도 “이 나라에서 애를 낳는 게 맞는 거냐”, “모유 수유 서약의 제일 화나는 점은 출산 후 직장에 복귀해도 모유 수유를 하겠다는 세 번째 줄이다. 출산 후 복귀하면 불이익을 겁나 주는 나라인 주제에 출산 후에도 모유 수유 의무?”, “남 이사 모유를 주든, 분유를 주든 무슨 상관이지. 왜 산모에게 죄책감을 주려고 하냐”, “차라리 분유 판매 금지를 하지 그러냐”, “모유 수유 서약까지 해야 하는 나라, 안 하면 못된 엄마고 이상한 사람이라고 낙인찍는 나라”라는 등 비판이 줄을 이었다.

보건소의 모유 수유 서약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이 트윗 글은 7일 오전 1시 50분 현재 8263회 리트윗됐고 657차례 다른 사용자들의 코멘트에서 인용됐다. 또 1169회 ‘좋아요’를 받았다.

이 글은 현재 트위터뿐만 아니라 다른 온라인 커뮤니티로 퍼지며 모유 수유 서약을 사실상 강요한 보건소와 해당 직원을 두고 네티즌들의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그리드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